페이스 북 글의 20% 악성코드 포함
하지만 페이스 북이나 트위터 같은 편리한 서비스들의 이면에는 잘 모르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데요. 이전에 말씀드렸던 개인 정보 유출이나 불필요한 사생활 노출, 그리고 빠른 전파속도로 오는 루머의 확산등이 있었습니다. 하지만 모든 소셜 네트워크 유저들이 걱정하는 것이 바로 바이러스나 악성코드의 전파입니다.
![]() Credit Card Theft by Don Hankins ![]() |
관련글 & 기사
페이스북 글의 20%가 악성코드 - 이티 뉴스
페이스북,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?-꼬마낙타
페이스북 ( Face Book ) 때문에 직장에서 해고 당한 사연 - 꼬마낙타
페이스 북의 개인정보법 위반 - 꼬마낙타
페이스북 글의 20%가 악성코드 - 이티 뉴스
페이스북,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?-꼬마낙타
페이스북 ( Face Book ) 때문에 직장에서 해고 당한 사연 - 꼬마낙타
페이스 북의 개인정보법 위반 - 꼬마낙타
보안업체인 비트디펜더라는 회사에서 자사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용 보안 프로그램인 '세이프고'를 설치한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뉴스피드를 분석한 결과 20%에 달하는 포스트에서 악성코드의 위험요소가 발견되었다고 말했습니다.
특히 다른 웹 커뮤니티나 웹 페이지등과 다르게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악성코드가 포함된 글은 좀 더 위험 할 수가 있는데요. 왜 그런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SNS에서 악성코드가 무서운 이유
다른 인터넷 사이트, 웹 커뮤니티 보다 SNS의 악성코드가 몇 배는 더 무서운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![]() Amistad by Analía Manetta ![]() ![]() ![]() |
1. 친구 관계
페이스북을 비롯한 다양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람들간의 관계는 친구관계입니다. 즉, 내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거나 실제로 오프라인에서 알고 지내는 지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죠. 따라서 내 친구가 하는 말, 올리는 게시물을 다른 인터넷 사이트나 웹 커뮤니티, 웹 페이지에 있는 글보다 신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또 한 친구의 포스트(글)은 다른 인터넷 사이트의 글, 웹 커뮤니티의 글보다 더 자주 읽게 되며, 친구관리라며 하나도 빠짐 없이 읽어 주는 사람도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상에서 악성코드의 전파 속도가 일반적인 웹 페이지에서의 전파속도보다 빠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.
친구의 글이기에 믿고 클릭하며, 또 자주 읽게 되는 것이죠.
"When speed gets in the blood, one must drive to live. Everything one does in life, even love, occurs in an express train racing toward death." by Jerrycharlotte ![]() ![]() ![]() |
2. 전파 속도
트위터 같은 경우 140자의 아주 짧은 단문을 써 넣기 때문에 전파속도가 매우 빠릅니다. 트위터의 경우 하나의 트윗을 읽는데 소비하는 시간이 매우 짧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같은 시간당 읽을 수 있는 글의 수가 일반적인 웹 페이지의 수 십배는 될 수 있습니다. 만약 어떤 트윗에 악성코드가 섞여 있는 URL이 링크가 되어 있을 경우 일반적인 웹 페이지보다 더욱 더 빨리 읽힐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.
또 트위터의 리트윗 기능은 해당 악성코드를 포함하는 URL이 더 더욱 빨리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. 또 스마트폰용 트위터 어플 같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들도 악성코드의 전파속도를 빠르게 증가시켜주는 반작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.
The FlickrVerse, April 2005 poster: flickr's social network by GustavoG moved to http://23hq.com/GustavoG ![]() ![]() ![]() |
3. 악성코드의 보급율 ( Coverage )
소셜네트워크의 가장 큰 특징인 케빈베이컨의 법칙이 악성코드의 전파에도 이용될 수 있습니다. 케빈 베이컨의 법칙이란 6단계 법칙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, 6단계의 소셜 커넥션( 친구나 이웃, 지인 )만 거치면 전 세계의 대다수의 사람과 연결 될 수 있다는 재미있는 법칙입니다. 이는 사람간의 관계를 따지는 학문에서 매번 등장하는 법칙이며, 특히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는 더 더욱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.
이런 법칙은 악성코드에도 적용이 될 수 있어서 악성코드가 6단계만 거치면 전세계 누구에게나 퍼질 수 있다는 단점으로 작용합니다. 재미있는 현상이죠. 웹 페이지의 경우 전세계 90%의 사람을 감염시키기 위해서 엄청난 양의 웹 페이지에 악성코드를 심어놓아야 하지만 소셜네트워크에서는 6단계만 거치면 되니까 더욱 더 수월하게 악석코드가 배포될 수 있겠지요.
![]() Norman Cavalry by Etrusia UK ![]() ![]() ![]() |
제가 항상 말씀드리는 것이지만 자신의 개인정보, 자신의 컴퓨터는 자신이 지켜야 합니다. 소셜네트워크상에서의 악성코드 전파가 심각한 수준일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항상 조심해야 하며, 꼭 1인 1백신 이상의 원칙을 지키셔야 합니다. 여러분의 컴퓨터에 바이러스/악성코드를 잡아주는 백신이 없다면 반드시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. 내 개인정보는 내가 지키자구요~~!!
여러분은 개인 백신 활용하고 계신가요??